-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on appearance appreci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진 조미래 민유빈 한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567~5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자아존중감, 외모수용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대학생의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대상자는 U시 소재 2개 대학의 재학생으로 131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하였으며, 코로나-19 유행과 감염병의 특성상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결과 대학생의 외모수용은 SNS 중독경향성과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266, p=.002),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관계(r=.768, p<.001)를 나타냈다. 회귀분석 결과 SNS 평균 접속 일수(주): 주 6회 이하(β=.17, p=.001), SNS 속 부정적 외모비교: 그렇지 않다(β=.18, p=.010), 자아존중감(β=.64, p<.001)가 외모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모수용을 71.7% 설명하였다.
결론 대학생의 올바른 외모수용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SNS의 과도한 이용과 SNS 속 부정적 외모비교를 방지하고 SNS를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및 교육⋅상담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self-esteem on appearance appreciation.
Methods 131 students were extracted with convenience sampling from two universities in U city and included as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0 to August 10, 2022,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 using Google questionnaire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s. SPSS 23.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Appearance acceptance in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a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r=-.266, p=.002)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r=.768, p<.001). In the regression analysis, Average number of days accessing SNS (weeks): Less than 6 times a week (β=.17, p=.001), Comparison of negative appearance on SNS: No (β=.18, p=.010), Self-esteem (β=.64, p<.001) appeared as a variable affecting appearance acceptance, explaining 71.7% of appearance appreciation.
Conclusions In order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properly appearance appreci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elf-esteem, prevent excessive use of SNS and negative comparison of appearance in SNS, and prepare a plan and education/counseling program to use SNS correct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