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etave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497~51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2023년 4월 1일 이전에 발행된 국내 학술 논문을 메타버스 관련 키워드로 검색한 후 내용을 검토하고 중복 논문을 제외하여 2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 메타버스의 활용 등의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는 2013년에 시작되어 2022년 연구 수가 급증하였다. 통합 연구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문헌, 메타버스 플랫폼, 콘텐츠 등 비인적 대상에 대한 연구와 일반 목적의 모든 급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주제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가상 세계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관련된 연구가 많았다.
결론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 지식과 언어 기능을 메타버스를 활용해 교육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일반적인 수업의 설계 원리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교사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의 특성에 맞는 교육 자료, 교육 과정, 평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using the metaverse.
Methods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before April 1, 2023 were searched as keywords related to metaverse. The contents of the papers were reviewed and 26 papers were selected excluding duplicate papers. Next,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by setting analysis criteria such as year, research method, research object, research subject, and use of metaverse.
Result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etaverse began in 2013 and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rapidly in 2022. Integrated research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and studies on non-human subjects and Korean learners at all levels for general purposes were actively conducte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re were many studies related to real-time online classes using the virtual world metaverse platform.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educate various learners on language knowledge and language functions using metaverse and develop general design principles. In addition,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etaverse should be conducted, and discussions on teachers' TPCK(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are needed. Finally, research on educational materials, curriculum, an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should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메타버스 연구 동향 분석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