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Writing on Body Appreciation and Body Shame in Women (under) 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지선 박기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415~4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신체 불만족 수준이 높은 대학(원)생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와 관련된 부정적인 경험을 회상한 후 신체 수치심이 증가한 상태에서 자기자비 글쓰기를 통해 신체 수용이 증가하고 신체 수치심이 감소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의분산 글쓰기 처치 조건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방법 실험 전 신체상 만족도 척도(BES: Body Image Esteem Scale)에 응답한 517명의 대학(원)생 여성 중 신체 불만족 수준이 상위 30%인 참가자를 선별하였다. 참가자들을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집단, 주의분산 글쓰기 처치 집단에 무선할당한 후 온라인 실험 링크를 배부했으며, 최종적으로 자기자비 처치 집단 18명, 주의 분산 처치 집단 2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처치집단별로 상태 자기자비, 신체 수치심, 신체 수용의 정도를 신체와 관련된 부정적인 경험의 회상 전(기저선), 회상 후(처치 전), 글쓰기 처치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상태 자기자비와 신체 수용은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집단이 주의분산 글쓰기 처치 집단에 비해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신체 수치심은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집단이 주의분산 글쓰기 처치 집단에 비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처치 후의 상태 자기자비, 신체 수용, 신체 수치심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자기자비 글쓰기가 신체 불만족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의 상태 자기자비와 신체 수용 함양 및 신체 수치심의 감소에 효과적이며 그 효과가 주의분산 글쓰기보다 우수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writing treatment on body shame and body appreciation in comparison with distraction writing treatment for women (under) graduate students.
Methods Among 51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ing BES(Body image Esteem Scale) prior to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ith high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were select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self-compassion writing group and the distraction writing group. After they recalled and wrote about personally negative body experiences, then they wrote self-compassionately or objectively describing the facts about their experienc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scales of state self-compassion, body shame, and body appreciation before and after recall, and after writ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self-compassion writing condition reported more improvement in state self-compassion, body shame and body appreciation in comparison with participants in the distraction writing con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writing treatment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body appreciation and to reduce body sha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