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clinical competence, problem-solv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self and peer-led debriefing in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희수 김진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339~3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을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교수자 개입이 없는 자가 디브리핑과 동료주도 디브리핑 방법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문재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로 92명의 참가자들이 각 집단에 배치되었다. 시뮬레이션은 고충실도 시뮬레이터(SimMan-3G)를 통해 이루어졌다. 시뮬레이션 후 시뮬레이션 비디오와 구조화된 서면 설문지를 통해 자가 디브리핑과 동료주도 디브리핑을 실시하였으며, 각 그룹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를 비교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시뮬레이션 전후 자가 디브리핑 집단(t=-3.53, p=.001)과 동료주도 디브리핑 집단(t=-4.81, p<.001)에서 임상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으나,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디브리핑 만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 자가 디브리핑과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교욱효과로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확인하여 디브리핑에서 교수의 촉진적 중재가 없더라도 학습자 본인 스스로 촉진자가 되거나 서로 촉진자가 되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는 상황이나 학습목표에 따라 적절한 디브리핑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브리핑 간 만족도 차이가 없어 학생들에게 디브리핑 방법을 선택하는 자율권 제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 to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and compare the effects of self-debriefing and peer-led debriefing without instructor interven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e, problem-solv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nd 92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Simulation training was conducted with a high-fidelity simulator (SimMan-3G). After simulation, using simulation video and structured written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self-debriefing group and peer-led debriefing group to compare the clinical competence, problem-solv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each group to confirm the effec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competence at self-debriefing group (t=-3.53, p=.001) and peer-led debriefing group (t=-4.81, p<.001) before and after simulation, but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al competence, problem-solving, and self-efficacy al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briefing satisfaction.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linical compet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educational effect of self-debriefing and peer-led debriefing. And it was found that learners themselves become facilitators or mutual facilitators even without professor's facilitating intervention in debriefing. Therefore, the professor will be 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debriefing metho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learning goal. In addi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debriefing,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viding students with autonomy to choose a debriefing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