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upervision Experience of Counseling Trainee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Counseling Process and the Effect on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미경 최웅용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47~2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수련생이 받은 수퍼비전의 경험이 상담의 과정 및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학회의 수련을 이수하고 자격을 취득한 후 현재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 경력 4년 이하의 상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경험에 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작업, 내용의 범주화, 빈도화 등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CQR)방법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2개의 범주, 5개의 주제군, 그리고 1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중 2개 범주와 5개 주제군을 살펴보면, 첫 번째 범주인 ‘상담 수퍼비전의 경험’에는 ‘상담 사례 이해에 관한 지도’, ‘상담과정 개입에 관한 지도’, 그리고 ‘수퍼바이저와의 상호관계를 통한 경험’의 3개의 주제군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주인 ‘상담과정 및 성과 경험’에는 ‘내담자에 대한 공감과 지지로 따라가는 상담’과 ‘상담기술의 활용으로 내담자 문제해결을 돕는 상담’으로 나타났다.
결론 상담 수련생들은 상담 수퍼비전을 통해 상담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경험을 하였으며 이 경험들이 상담과정과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수퍼비전의 경험이 상담의 과정과 성과에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가시적인 입증과 더불어 앞으로 상담수련생 및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을 위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upervision experience that counseling trainees receiv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to obtain a second-class certificate issued by the counseling -related association affects the process and performance of counseling.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0 counselors with less than 4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through in-dapth interviews on supervision experience and counseling experience,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using a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wo categories, five topic groups, and 18 topics were derived. Looking at the two categories and five topic groups, the first category, ‘experience of counseling supervision’, was found to be three topic groups: ‘guidance on understanding counseling cases’, ‘guidance on intervention in the counseling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ith supervisors. In addition, the second category, ‘counseling process and performance experience’, was analyzed as ‘counseling that follows with empathy and support for the client’ and ‘counseling that helps solve the client’s problems by using counseling technology.
Conclusions Counseling trainees had various experiences for growing as counseling experts through counseling supervision, and these experi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performance, confirm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supervision was achie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xperience of supervision can provide a basis for supervision of counseling trainees, along with tangible proof that it effectively appears in the process and performance of counsel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