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ceptance Phase of Metacogni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선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33~2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국어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에 읽기 상위인지가 어떻게 수용되어있는지 분석하는 데에 있다.
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상위인지를 지식(선언적, 절차적, 조건적 지식)과 조절(계획, 점검 평가)로 나누어 상위인지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개정 국어교과서 중 6학년 1, 2학기 읽기 관련 단원 11개로, 이중 일반 단원은 단원 도입/마무리, 읽기 전 안내 텍스트, 날개, 학습 활동, 도움말로, 독서 단원은 독서 준비, 독서 중, 독서 후로 나누어 각각을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11개 단원을 분석한 결과, 읽기 관련 단원 중 일반 단원은 상위인지의 조절보다는 특정 기능의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교과서에서 상위인지 조절 중 점검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곳은 6학년 1학기 독서 단원뿐이었다. 또한 상위인지에 관한 학년별, 단원별 연계가 부족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향후 초등 국어 교과서를 위한 제언은 첫째, 상위인지의 지식과 조절 및 각각의 하위요소들을 균형 있게 제시하고, 상위인지 자체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여러 독서 단원에서 점검과 조정을 풍부하게, 반복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셋째, 상위인지에 대한 학년별, 단원별 교육 내용의 연계와 체계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etacognition is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metacognition was divided into knowledge (declarative, procedural, conditional knowledge) and regulation (plann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The subject of analysis is 11 reading-related chapters in the 6th grade 1st and 2nd semester Korean language textbooks.
Results After dividing the 11 chapters into general chapters and reading chapters,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framework,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chapters were biased towards specific functional knowledge rather than regulating the metacognition. Moreover, only one reading chapter in the 1st semester of the 6th grade reflected monitoring of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in the textbook. In addition, there was a lack of linkage between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metacognition by grade and chapter.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ly,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and their sub-elements should be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and knowledge about the metacognition itself should be provided. Secondly, monitoring and regulation should be richly and repeatedly covered in various reading chapters. Thir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linkage and systemat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on the metacognition by grade and chapter.
목차
Ⅰ. 서론
Ⅱ. 상위인지의 개념과 요소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