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Environmental Attitudes and Tourism Experience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진욱 김진옥 조혜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05~2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환경태도가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관광경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지 A대학교와 충청도 소재지 B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05명이다. SPSS 23.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간접효과 및 총효과의 영향력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 추정방법으로 95%신뢰구간 양측검증에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은 환경태도와 하위영역인 환경윤리성, 현지주민고려성, 자연보존성, 현지자연문화와 조화성과는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동⋅식물애호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의식과 환경보전 의식은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환경태도는 환경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환경보전의식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관경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경험은 환경의식과 환경보전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광경험은 환경태도가 환경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완전매개하며, 환경태도가 환경보전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관광경험이 환경에 대한 의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재 확인시켜 준 것이다. 이에 예비유아교사들이 의미있는 경험을 통해 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attitudes influencing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0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B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do.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o find 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with structural equ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in both-sided verification of 95% confidence intervals was investigated by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attitudes and the sub-areas, environmental ethics, local residents' consideration, nature conservation, and harmony with local natural culture, whil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imal and plant affin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attitudes do not directly affect environmental awareness, but indirectly affect. It also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and directly affect tourism experiences. Tourism experiences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ourism experience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attitude affecting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attitude affect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ffirmed that tourism experienc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elps improve environmental awareness. Thus, I explored and suggested a way to rais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nvironment through meaningful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