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Students at 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행자 정주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133~1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된 과학 영재들의 대학 생활 경험과 진로 발달 과정을 생생하게 알아봄으로써 과학 영재들을 위한 진로 지도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 발달 경험을 풍부하고 상세하게 풀어내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한 지방광역시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명이 참여하였고, 반구조화 질문지를 중심으로 한 심층면담의 전사자료, 연구자의 현장메모, 연구 참여자와 주고받은 e-mail과 메시지, 연구 참여자의 글 등을 수집하였으며, Clandinin과 Connelly (2000)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대학 입학 전, 대학 생활, 앞으로의 진로 계획 순으로 구성하였고, 그들의 진로 발달 과정에서 대학 생활 경험이 갖는 의미는 [좌절을 딛고 나의 길을 나아감], [나를 성장시키는 사람들], [숨통이 트이는 창구]였다. 연구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참여자들의 삶에서 ‘자신의 고유한 개인적 정체성을 발견하고 공고히 하여 사회적⋅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대학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존재’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연구자에게 갖는 개인적 정당성, 과학 영재를 위한 진로 교육 현장에 전달할 수 있는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으로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고찰을 통해 사회적 정당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for science gifted students by vividly examining the college life experience and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science gifted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reveal in-depth detail of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Three college students at 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ranscription data of in-depth interviews centered 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researcher’s field notes, e-mail and text messages exchanged with the participants, and their writing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stories were organized in the order of before entering the college, college life, and future career plans. The meaning of their college life experience in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was [overcoming setbacks and moving on my way], [people who help me grow], and [having outlets for stress]. From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college life while struggling to discover and solidify their own personal identity to form soci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personal justification of the researchers, practical justification for the field of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for science gifted students, and social justification to create a better social environment were reveal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