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Senior Undergraduat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창범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89~10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을 고려하는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 이를 근거로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경기⋅인천, 기타 지역의 대학생 3, 4학년(초과학기 및 학적유지자 포함)의 응답자 중 취업을 고려 중이라고 답한 25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일반적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를 측정하였고 SPSS 29.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결과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정적상관 및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가 총효과보다 커서 취업스트레스는 억제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으면서도 실천적 진로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고학년 대학생에 대해서는 그들의 취업스트레스 수준을 확인하고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job-seeking stress, especially in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enior undergraduates who consider employmen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tudy.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participation of senior undergraduates(including the students who are in extra semesters and maintain scholarly) in Seoul, Gyeonggi-Incheon, and other regions. Demographic variables, general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were studied among 250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considering employment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enior undergraduate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larger than the total effect, so job-seeking stress was found to be a suppressor variable.
Conclusions For senior undergraduates who do not have experience in practical career behavior despite having high self-efficacy,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to intervene after evaluating their job-seeking stress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