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ten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a Green Wall as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문지현(Moon,Jihyun) 박재록(Park, Jaerock) 권순철(Kwon, Soonchul) 김재문(Kim, Jaemo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3호, 33~4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도시화와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왜곡된 도시 물순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의 대안으로 자연기작을 모방하여 개발이전의 수문상태로 회복시키는 빗물관리 기법인 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의LID 시설로서의 저류 성능을 확인하고자 강우유출수 저감 및 지체시간 지연효과를 산정하였다. 테스트베드는 한국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센터의 벽면녹화이며, 부산시 금정구 2012년~2021년 백분위수 강우사상을 근거로 30 mm/hr, 50 mm/hr, 70 mm/hr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세 시나리오별로 유출률은 91%~94%로 벽면녹화 설치 전 대비 감소하였으며, 총 유출시간은 벽면녹화설치 전 대비 47분, 88분, 58분 증가하여 지체시간 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벽면녹화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SWMM을 구축하고,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보정하였다. 그 결과 결정계수 R2는 검정 0.96~0.98, 보정 0.93~0.94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벽면녹화의저류 효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SWMM 모형구축을 통해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벽면녹화의제원별 수문학적 성능평가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produce distortions in urban water circulation. This issue can be resolved using a stormwater management technique called Low Impact Development (LID), which mimics natural processes and restores the hydrological state as it was befor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LID facility and calculate the runoff reduction and delay effect. The test-bed is a green wall of the Korea GI & LID Center. Scenarios for 30 mm/hr, 50 mm/hr, and 70 mm/hr were set based on the percentile of rainfall events from 2012 to 2021 in Geumjeong-gu, Busan. By setting an impervious surface as the control group, runoff reduction was found to be 91%~94% of 30 mm/hr, 50 mm/hr, and 70 mm/hr. The total outflow time increased by 47, 88, and 58 minutes, respectively, demonstrating the effect of reduced runoff and delayed time. 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constructed to evaluate this effect quantitatively. Verification and correction were done using the experiment results. R2 was 0.96~0.98 for the test and 0.93~0.94 for the correction. This paper thus verified the retention effectiveness performance of a green wall and analyzed its quantitative effect through a SWMM. The study findings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test parameter-wise hydrological performance of the mode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