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tudyontheMediaReproductionofAugmentedRealityandVirtualReality: Focusing on Peirce's Semiotics, VR, and AR Interaction Cas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윤병권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353~36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퍼스의 기호 사상을 중심으로 증강·가상현실 매체의 상호작용 특성을 개념적으로 정리해 보고 네 가지 사례분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험에 의한 실증적 연구보다는 담론적 논증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사례 분석 결과, 증강현실의 경우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을 모두 나타냈으며 가상현실의 경우 비매개성은 가지지만 하이퍼매개성은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네 가지 상호작용 특성으로 다시 분석해 보면, 증강현실의 비매개적 전략은 미완의 정체 파악으로서의 행동의 행동 매개이며 하이퍼매개적 전략은 사유 가능성으로서의 행동의 상태 매개로 분석되었다. 가상현실의 비매개적 전략은 재유형화의 행동의 행동 매개이며 하이퍼매개적 전략은 사물의 참조로서의 행동의 상태 매개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conceptually summarize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media with Perth's symbolic idea and prove its validity through four case analyses. Therefore, the emphasis was on discourse argumentation rather than empirical research by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augmented reality showed both immedicay and hyper-medicay and virtual reality showed immedicay but not hyper-medicay. To re-analyze this into four interaction characteristics, The immedicay strategy of augmented reality was analyzed as a behavioral medium as an unfinished identity identification, and the hyper-medicay strategy was analyzed as a state medium of behavior as a possibility of thinking. The immedicay strategy of virtual reality was analyzed as the behavioral medium of reclassification, and the hyper-medicay strategy was analyzed as the state medium of behavior as a reference to objec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5.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