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이용수 31

영문명
“Types of Communication Problems that Occur Dur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진제희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15권 3호, 255~27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ommunication problem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that occur dur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nalyzes them through discourse analysis. During the research phase, six classroom situations presenting Korean grammar and vocabulary were recorded and the teacher-student dialogue was analysed. For this research, I defined a communication problem as ‘a situation where the conversation has stopped progressing and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is in a suspended state.’ As a result, the problem situations are divided into dialogue avoidance, message delivery failure,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Problem types were divided into 12 different categories: student unresponsiveness, impertinent response, incorrect sentence construction, an incomplete sentence construction, a mother tongue response, repetition of teacher- initiated utterance, rising intonation of sentence ending, requesting for elaboration, request for clarification, indirect elicitation expressing lack of understanding, partial repetition, and explicit expression of misunderstandi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제 발생’의 조작적 정의
3. 연구 방법
4. 문제의 종류
5. 문제 발생 상황별 문제 종류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제희. (2004).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한국어교육, 15 (3), 255-276

MLA

진제희.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한국어교육, 15.3(2004): 255-27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