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papers since 2001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수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829~8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2001년부터 2022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 논문 중에서 유아 성교육 관련 국내 학술 논문 중에서 125편을 선별하여 빈도 분석과 논문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빈도 분석은 Excel 201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은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이후 Netdraw를 이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시각화 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는 후기보다 전기에 많이 발간되어 2001년부터 2011년 사이에 유아 성교육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가장 증대되었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전기에는 ‘성역할고정관념’, ‘그림책’, ‘내용분석’순으로 빈번하게 출현했고, 후기에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그림책’, ‘교사성교육인식’순으로 빈번하게 출현했다 셋째, 연결중심성은 전기에 ‘성역할고정관념’, ‘그림책’, ‘내용분석’, ‘교사성교육인식’ 순으로, 후기에는 ‘성역할고정관념’, ‘그림책’, ‘교사성교육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근접중심성은 전기에 ‘그림책’, ‘성역할고정관념’, ‘내용분석’ 순으로, 후기에는 ‘성역할고정관념’, ‘그림책’, ‘내용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은 전기에 ‘성역할고정관념’, ‘그림책’, ‘젠더’와 ‘성항상성’ 순으로 후기에는 ‘성역할고정관념’, ‘그림책’,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위세중심성 분석은 전기에는 ‘그림책’, ‘성역할고정관념’, ‘교사성교육인식’ 순으로, 후기에는 ‘그림책’, ‘교사성교육인식’, ‘교사성교육요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추후 진행될 유아 성교육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Among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22, 125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were se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ubject words of the paper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xcel 2016 program, and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UCINET 6 program. After that, the network built using Netdraw was visualized. Results First,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was published more in the early period than in the late period, and it can be said that researchers' interest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increased the most between 2001 and 2011. Second, as a result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it frequently appeared in the order of ‘sex role stereotypes’, ‘picture books’, and ‘content analysis’ in the first half, followed by ‘sex role stereotypes’, ‘picture books’, and ‘teacher's perception of sex education’. Third, connection central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sex role stereotype’, ‘picture book’, ‘content analysis’, and ‘teacher's perception of sex education’ in the first half, followed by ‘sex role stereotype’, ‘picture book’, and ‘teacher's perception of sex education’. Proximity centrality appeared in the order of ‘picture book’, ‘sex role stereotype’, and ‘content analysis’ in the first half, followed by ‘sex role stereotype’, ‘picture book’, and ‘content analysis’. Mediation-centeredness appeared in the order of ‘sex role stereotypes’, ‘picture books’, ‘gender’ and ‘sex constancy’ in the first half, followed by ‘sex role stereotypes’, ‘picture books’, and ‘teachers’. The analysis of prestige centrality was in the order of ‘picture book’, ‘sex role stereotype’, and ‘teacher's perception of sex education’ in the first half, followed by ‘picture book’, ‘teacher's perception of sex education’, and ‘teacher's demand for sex educ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view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