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6th graders' Self-esteem on Sense of Commun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693~70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의 자아존중감, 교사지지, 친구지지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존중감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 및 또래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2020)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6학년 1,357명에 관한 자료를 SPSS와 PROCESS macro model 1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해 변인들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교사 및 친구지지의 조절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자아존중감, 교사지지 그리고 친구지지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 및 친구지지는 자아존중감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교사 및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6학년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영향은 교사지지 및 친구지지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들의 공동체 의식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교사지지 및 친구지지에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6th graders' self-esteem,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on sense of community.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Methods Using data from 13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1,357 elementary school students(6th graders) were analyzed by SPSS and PROCESS macro model 1.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the regression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r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and moderating effects. Results Self-esteem,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sense of community.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Specifically, the higher the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e higher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sense of community. Conclusions The effect of self-esteem on sense of community depends on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level. This results indicated that 6th graders’ sense of community can be increased by promoting self-esteem,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