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Basic Nursing Textbooks in North and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차민주 강윤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661~6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교과서를 통해 기본 간호술 내용을 분석하여 통일 시대의 남북한이 통합된 통일간호 및 교육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남북한의 기본 간호술을 간호학 교과서 등 관련 문헌을 통해 파악하는 질적 단순 범주화를 통한 내용분석연구이다. 남북한의 교과서 정책과 발행 시기를 고려하여 통일부 북한 자료센터에 보관된 자료를 통해 수집하였고, 남북한의 임상 실무의 근거가 되는 정상범위 및 기본 간호술 수행과정 및 방법을 표로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남북한의 기본 간호술은 이론의 근거가 되는 정상범위, 기본 간호술 수행방법과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다. 기본 간호술 외에도 문화, 언어 및 이념적 측면에서 여러 차이가 존재하였다. 결론 통일 이후에는 상호 협의 가능한 수준에서의 기본 간호술을 표준화하고, 남북한 건강체계를 통합하기 위해 통합된 간호교육과 교재개발, 교수학습법 개발 및 다양한 연구들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nursing education on the basic nursing skill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to understand the nursing education in North Korea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education and research in Unificated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a content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and simple categorization to grasp the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skills based on comparing both basic nursing textbooks in South and North Korea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xtbooks stored at the North Korean Resource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South Korea. Results Nursing skills in South and North Koreas were different in normal range and measurement methods for vital signs, intravenous injection, management of indwelling catheter, and type of disinfectant. For medical terms written in textbooks, English was often used in South Korea, but pure Korean and Latin were often used in North Korea. Conclusions Nursing skills described in nursing textbooks differed i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cultural, language, and ideological aspects other than nursing skills. After unifi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high nursing competence of the two Koreas, it is essential to integrate mutually understandable nursing skills and to develop a nursing textbook.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o develop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preparing to integrate the health systems in South and North Korea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