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dler Individual Psychology-Based Positive Discipline Parent Educ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예진 유상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541~5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Adler의 개인심리학 기반의 긍정훈육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소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의 양육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Dreikurs와 Jane Nelson의 ‘부모와 아이들의 공동체감 발달’을 돕는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한국 상황에 맞게 수정 적용하였으며, 긍정훈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참여 과정에 대한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긍정훈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사례를 전사한 텍스트 자료와 참여자들이 제출한 산출물을 분석한 결과 ‘생활양식의 이해’, ‘대물림된 양육방식’, ‘변화 연습하기’ 등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9개의 주제가 형성되었다. 결론 연구 참여자들은 긍정훈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생활양식을 이해하고, 자녀와 갈등이 부모와 자녀의 생활양식 차이로 인한 것임을 알아차렸으며, 그들이 제공하는 양육환경 및 양육방식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들은 긍정훈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개인의 강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자신의 긍정적 자원이 강화되었으며, 자녀의 상황과 눈높이에 맞는 ‘나만의 긍정훈육법’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양육법이 무엇인지 교육하는 데 초점 맞춰진 기존 긍정훈육 프로그램에 비해 본 연구에서의 프로그램은 부모와 자녀 간 일상생활에 긍정적 관계를 증가시키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차별이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 훈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based positive parenting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to understand how the parenting method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hange. Methods To this end Dreikurs and Jane Nelson's program to help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for parents and children was modified and applied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tion process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Result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s after conducting the positive parent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understanding lifestyle’, ‘matched parenting’, and ‘practicing change’, and nine themes were formed. Conclus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understood their lifestyle through positive parent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recognized that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were caused by differences in lifestyl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realized that the parenting environment and parenting methods they provided affect their children. While participating in the positive discip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y discovered their individual strengths strengthened their positive resources and prepared their own positive discipline method that suits their children situation and eye level.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 program in this study helps increase positive relationships in daily lif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mpared to existing positive training programs focused on educating what positive parenting methods are.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lay the found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positive parental discipli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