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윤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473~48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대면한 생태 위기의 문제를 문학 및 문학교육의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에 대해 문학의 향방과 문학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생태 위기와 관련한 최근의 이론적 모색들을 검토하고, 당대 한국 소설 가운데 생태 위기의 문제의식을 담은 구체적 텍스트를 추출하여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두드러진 모색의 양상 및 문학적 형상화에 있어서의 특성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학교육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생태 위기 시대 문학의 주요 지향으로 먼저 문학이 지금 여기의 문제로서 생태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문학이 생태 위기 시대를 맞아 비인간 존재와의 연결 및 동맹을 지향하고자 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 주체성 이론과 관련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 시대의 문학이 생태 위기에 대한 정동의 전환을 촉구하는 방식으로 생태 위기에 대응하고자 하고 있음을 밝혔다. 결론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생태 위기 시대의 문학 교육 방안으로 ‘지금 여기’의 생태 문제를 읽고 쓰는 교실, 연결과 공생을 모색하기, 생태 위기의 사고 실험과 해법 찾기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on how to approach the issue of the ecological crisis facing our society today in terms of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recent theoretical searches related to the ecological crisis were reviewed, literary directions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specific texts, and literary educational measures were derived from them. Results As the main orientation of literature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it was first suggested that literature is actively responding to the ecological crisis as a problem of ‘here and now’. Second, it was pointed out that literature aims to connect and ally with non-human beings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and this was analyzed in relation to Bruno Latour's theory of Actor-Network Theory. Third, literature of our time revealed that it is trying to respond to the ecological crisis in a way that urges the transition of ‘affect’ to the ecological crisis. Conclusions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classrooms that read and write ecological problems of “Now Here,” seek connection and symbiosis, and experiment with thinking and finding solutions to the ecological crisis as literary education measures in the era of the ecological crisis.
목차
Ⅰ. 서론
Ⅱ. 생태 위기 시대 문학의 향방
Ⅲ. 생태 위기 시대 문학교육의 모색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