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Aging Attitud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aged Adul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미영 강석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187~19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e-헬스리터러시, 노화태도,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e-헬스리터러시와 노화태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일개지역의 만 40세 이상 65세 미만 중년기 성인 11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하여 2021년 10월 2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e-헬스리터러시는 노화태도(r=.44, p<.001), 건강증진행위(r=.47,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노화태도는 건강증진행위(r=.54,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화태도(β=.38, p<.001), 30분 이상 운동(β=.32, p<.001), e-헬스리터러시(β=.29, p<.001) 순으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력이 높았다.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44.0%이었다. 결론  중년기 성인의 e-헬스리터러시 향상과 긍정적이며 성숙한 노화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제도적 지원, 정책 마련 등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e-health literacy, aging attitud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aged adult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and aging attitud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 to October 28, 2021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111 middle-aged adults aged 40 to under 65 in one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6.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e-health liter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ging attitude (r=.44, p<.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r=.47, p<.001). Aging attitude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r=.54, p<.001).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ing attitude (β=.38, p<.001), exercise for more than 30 minutes (β= .32, p<.001), and e-health literacy (β=.29, p<.001) had a high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4.0%. Conclusions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nstitutional support, and policy prepar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middle-aged adults’ e-health literacy and maintain a positive and mature aging attitu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