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burnout between involution behavi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SHEN ZHIKAI SUN ZHANF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0호, 79~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내권(内卷)행동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취업소진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대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내권행동, 취업준비행동, 취업소진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7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내권행동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취업소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권행동은 취업소진, 취업준비행동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내권행동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취업소진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 취업소진의 하위요인인 탈진과 비인간화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반감, 무능감, 부정적 신념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세 변수 간 관계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취업소진 전체 그리고 하위요인별 조절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중국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촉진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burnout between involution behavi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To this end, 282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for involution behavi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employment burnou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of 271 peopl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6.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olution behavi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Result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volu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employment burnou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burnou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involution behavior affect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mong them, the moderating effects of exhaustion and dehumaniz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employment burnout,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ntipathy, inability, and negative beliefs can be confirm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but also the overall employment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ach sub-fact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