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Error, Ego Resilience and Learned Helplessness of High School Kendo Player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이양주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1호, 93~1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검도선수의 실수인식과 자아탄력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23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24.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실수인식은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습인식은 학습된 무기력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치며, 고찰인식은 지속성 결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담인식은 학습된 무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학습된 무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실수인식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과는 고등학교 검도선수의 실수인식은 자아탄력성과 학습된 무기력에관여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습된 무기력은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error, ego resilience and learned helplessness of high school kendo player.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elected 230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WIN 24.0. First, the perception of error had positive effect on the high school kendo player ego resilience. Second, the learning recognition had negative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recognition of consideration had negative effect on lack of persistence and burden recognition had positive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Third, the ego resilience had negative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Fourth, the ego resilience full mediating effect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error and learned helpless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rror perception of high school kendo players is involved in ego resilience and learned helplessness, the higher ego resilience capital the lower learned helplessnes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