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cond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through Lessons Emphasizing Their Relational Understand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진(Lee, Yujin) 방정숙(Pang, JeongSuk)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2호, 337~3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된 덧셈과 뺄셈 단원의 학습 후, 2학년 학생들의 등호에 대한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개 학급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등호 이해에 대한사전ㆍ사후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등호 정의, 등식 구조, 등식 해결의 거의 모든 문항에서정답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등호를 ‘문제에 대한 답’으로 이해하는 응답은 줄어들었고‘같다’나 ‘서로 바꿀 수 있다’로 답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학생들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그 전략을 분석한 결과 연산적또는 계산적 전략에서 관계적 전략으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등호에 대한관계적 이해를 촉진하고 측정하는 것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second graders understand the equal sign after learning the unit of addition and subtraction reconstructed to enhance their relational understanding. Apropos this, two classes of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both the pre-and post-tes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of lessons l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rrect answer rate for almost all items dealing with equal sign definition, equation structure, and equation-solving. Specifically,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and post-test, more students regarded the equal sign as “the same” or “can be exchanged,” whereas fewer students regarded it as an “answer to the problem.” Students could also employ relational strategies more often than operational or computational strategies.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measur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