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s in the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after Applying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for Elementary First and Second Grade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권종겸 이영혜 이봉주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5권 제4호, 683~69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교육에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과서가 적용된 지 한 학기가 지난 시점에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1․2학년 교사의 인식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3년 3월에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1․2학년 담당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같은 해 7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들 중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1․2학년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의 적절성과 효율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이 가장 적합한 영역을 측정 영역으로, 가장 부적합한 영역을 도형 영역으로 인식하였고, 실생활 연계형을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유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t the point when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have been used in math classes for elementary first and second grades, this research analyzed any changes in perspectives of in-service teachers towards storytelling education, to promote further ap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 by storytelling in the future. 30 in service teachers who have used math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were surveyed in March and in July, 2013.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urvey results, four of the subject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Consequently, teachers' perspectives towards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the storytelling educa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t also suggested that the most suitable area for storytelling is measurement, the least suitable area is geometry, and storytelling by real-life applications is effective in teaching elementary math.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