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Study between Korean public education and Waldorf education Focusing on Teaching the Numbers from 0 to 10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영미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5권 제1호, 137~1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국문 초록
발도르프 교육은 최근 대안교육계를 통해 활발히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1-1학기에 지도되는 0~10까지의 지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공교육과 발도르프 교육의 지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과 자료 분석을 택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과서와 발도르프 교육 관련 자료들을 비교하여 주된 특징들을 각각 추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주된 특징으로, 0~9까지와 10의 분리 지도, 집합수와 순서수의 의미 지도, ‘1 큰(작은) 수’의 지도, ‘이야기’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발도르프교육 자료에서 나타난 주된 특징으로는 질적인 측면에서의 수의 지도, 이야기 들려주기, 리듬으로 수 만나기, 전체성에서 부분성으로 나아가기 등을 추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차이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기제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는 수학적 구조나 개념이 주요한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면,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특정 연령에 있는 아이들의 발달적 특성을 주된 요소로 고려하여 지도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compared waldorf education with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area of teaching the numbers form 0 to 10. We took several characters of both. The korean education style has the characters like separation of 0~9 and 10, teaching of the meaning of ordinal numbers and cardinal numbers, use of storytelling. The waldorf education style has the characters like teaching of the qualitive meaning of numbers, use of storytelling, meeting numners in rhythm, teaching from whole to part.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과정 변천에서 0~10까지의 수 지도에 나타난 주요 특징
Ⅲ. 발도르프 교육의 주요 특징
Ⅳ. 발도르프교육에서 수학교육의 목적과 수 교육의 주요 특징
Ⅳ. 발도르프교육의 0부터 10까지의 지도에 나타난 주요 특징
Ⅴ.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