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Thinking related to Statistical Variabilit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성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4권 제4호, 495~5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변이성 사고 요소를 변이성 인식, 변이성 설명, 변이성 제어,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 표집분포의 이해로 구분하고, 이들 요소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연구결과 통계적 변이성 사고 요소를 변이성 인식, 변이성 설명, 변이성 제어,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 표집분포의 이해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변이성 인식, 변이성 설명, 변이성 제어에 대한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 표집분포의 이해의 상관계수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표집의 이해를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 표집분포의 이해를 포괄하는 잠재변수로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변이성 인식과 변이성 제어는 표집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변이성 설명은 표집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tinguished thinking related to statistical variability into six components - the noticing of variability, the explanation of variability, the control of variability, the modeling of variability, the understanding of samples, and the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inking components. This study found that this distinction of thinking components related to statistical variability is reason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modeling of variability, the understanding of samples, and the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with regard to the noticing of variability, the explanation of variability, and the control of variability is similar. Based on this results, new variable, the understanding of sampling, has been draw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while the noticing of variability and the control of variability influence the understanding of sampling, the explanation of variability does not influence 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