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in Mathematics Classroom with Immigrant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륜진 노선숙 주미경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3권 제1호, 37~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수학수업의 실태를 파악을 위해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의 수학수업을 관찰·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삶과 맥락화’, ‘수학적 대화’ 범주에서 양적·질적 분석결과 다문화수학교육의 준거에 부합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범주에서는 양적 분석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반면 질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불평등한 신념과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모든 범주에서 다문화수학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결과는 수학교사가 다문화수학수업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d investigated the teaching practic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s with immigrant students to describe how effectively mathematics teachers create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of mathematics.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elementary schools suggests that teaching practice in the class was consistent to the criteria for 'contextualization of students' lived experience' and 'mathematical con- versation'. However, while the quantitati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showed high expectation to their students in their teaching,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e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gainst providing equitable educational opportunity for every student.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s,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practices were not compatible to the goal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regarding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suggests that the teachers possessed rather advan]ced understanding of multi- 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y need materials and pedagogy for classroom teaching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