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시계열 자료의 분포에 대한 이해 양상을 조사하고 시계열 자료의 분포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추론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 수준의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두 나라의 코로나19와 관련된 시계열 자료를 제시하고 세 달 뒤에 코로나19로부터 더 안전한 나라를 예상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시계열 자료의 분포에 대한 이해를 추세, 중심, 퍼짐, 특이값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료집합을 분할하는 추론은 분포에 대한 이해를 촉진한 반면, 자료값의 국소적 차이에만 주목하는 추론은 분포에 대한 이해를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사항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n distribution of time series data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reasoning that can promote or restrict those understanding. To this end, we presented time series data related to COVID-19 in two countries to 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prediction on safety level of the two countries in three months. Findings show that understanding on distribution of time series data could be characterized by its aspects of trend, center, spread, and outli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asoning about grouped data set promoted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while the reasoning that focuses only on local differences in data values restricted that understanding. We discuss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approach and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