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성환 손태권 여승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2권 제4호, 811~8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노티싱 특성을 규명하고 수업맥락에 따른 노티싱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교사교육과 노티싱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규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노티싱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시간’, ‘주체’, ‘주제’, ‘견지’, ‘교사 지식’의 다섯 가지 영역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별 노티싱의 차이에 대하여 카이제곱검증을 수행하고 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신규교사들의 노티싱에서 영역별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 요소는 ‘전개’, ‘교수법’, ‘평가적’, ‘교육학적 지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별 차이에서 ‘시간’, ‘주체’, ‘주제’, ‘견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교사 지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과 노티싱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no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noticing according to classroom contexts. To achieve these goals, we collected reflection notes from 20 novice teachers, in which they analyzed two mathematics classrooms. Then, we examined the collected data across five domains (when, who, what, how, and where). We also implemented a chi-square test to examin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bserved classrooms. Results revealed that novice teachers were likely to notice main activities and teacher pedagogy from evaluation stance by using pedagogical knowledge. Additionally,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en, who, what, and how domains according to the observed classrooms, where domai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in notic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