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Low-Achievers in Computer-based Mathematics Assessment: Evidence from PISA 2018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화경 송민호 최인용 정인우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2권 제3호, 791~80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근래 우리나라 중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국제 수준 역량기반 평가인 PISA의 결과에서도 확인되는데, 특히 컴퓨터 기반 평가가 도입된 PISA 2015 이후로 우리나라 수학 기초학력 미달 집단의 비율이 크게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ISA 2018에서 수학 영역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학력 미달 집단과 우수학력 집단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며, PISA 2015 결과를 보조적으로 이용한다. 분석 결과, PISA 문항에 대한 응답 시간, 동작 횟수, 첫 동작까지의 시간에서 두 집단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으로 변화되는 평가 환경에 대비하여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지도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number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is constantly increasing. PISA results manifest this tendency, and it is noticeable that the proportion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has been growing sharply since the introduction of PISA 2015, which adopts computer-based test. In an attempt to figure out the reasons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low-achievers and high-achievers on PISA 2018 results, supplemented by PISA 2015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wo groups distinguish from each other in the areas of response time, the number of action, and the time to the first action.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some teaching implications for the changes caused by computer- based test environment.
목차
I. 서론
II.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