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손태권 황성환 여승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2권 제3호, 489~5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국문 초록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된 문제들은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학습 기회의 질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2015개정교육과정 분수의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맥락적 특성, 문제 해결 상황, 수학적 활동에 초점을 두고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을 분석하였다.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맥락적 특성을 기준으로 표상 문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실생활 맥락 문제는 약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문제 해결 상황에서 분수의 덧셈은 합병 문제, 분수의 뺄셈은 구잔 문제로 연산의 의미를 대부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각 학년별로 문제 해결 상황 및 미지수의 위치에 따른 난이도로 구별하였을 때 대부분 가장 쉬운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활동의 일반적인 전개 양상은 문제 확인하기, 예상하기, 탐색하기, 정답 찾기, 설명하기 및 정당화하기의 단계로 구성되어있으나 동분모 분수 연산인지 이분모 분수 연산인지에 따라 강조되는 수학적 활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차후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Mathematical problems in textbooks play a critical role to determine the quality of opportunity to learn. In this study, we analyzed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units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fourth and fifth grades to examine what opportunities students might have through learning the units. Problems or tasks in textbooks were analyzed in three phases: contextual features, problem-solving situations, and mathematical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s with represen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 type, and problems with real-world context were provided about 20%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Regarding problem-solving situations, ‘part-part-whole’ in addition of fraction and ’separate‘ types in subtraction of fraction were dominant respectively whereas there was a lack of problem types based on problem-solving situations. Moreover, the majority of the problems with real-world contexts consisted of the easiest problems. Lastly, the general pattern of mathematical activities in the primary tasks emerged: ‘confirming the problem’, ‘predicting’, ‘investigating’, ‘finding the solution’, ‘explaining and justifying’. However, emphasized mathematical activities varied depending on common denominators or uncommon denominato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were draw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