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학 문제 해결 과정의 의사소통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이용수 36

영문명
The Semiotic Analysis on the Communic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김수민 김선희
간행물 정보
『학교수학』제20권 제1호, 131~14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서 하나의 기호 운반체로 여러 가지 생각들이 교환되는 것을 미시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대상체를 세분하여 문제 해결 과정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명의 대학생들에게 경사도 문제를 제시하고 그들의 의사소통을 문제 해결 단계별로 구분하여 직접적 대상체, 역동적 대상체, 기호 운반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문제의 답이 되는 최종적인 해석체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 대상체들을 생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동일한 기호 운반체에 대해 직접적 대상체와 역동적 대상체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에서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발신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신자가 역동적 대상체를 수정할 수 있도록 노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microscopically examine the exchange of many thoughts as a single sign-vehicle in communication, this study semiotically analyzed the problem-solving process by subdividing sign-objects. After presenting a gradient problem to two university students and dividing their communication into each problem-solving stage, the roles of immediate object, dynamic object, and sign-vehicle were examined. The students formed diverse objects for forming interpretant, and in the process, they formed the immediate object and dynamic object regarding the same sign-vehicle. And in case when opinions were not agreed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communication, for the correct problem solving, the sender made efforts, for changing sign-vehicles so that the receiver could modify the dynamic objec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민,김선희. (2018).수학 문제 해결 과정의 의사소통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학교수학, 20 (1), 131-147

MLA

김수민,김선희. "수학 문제 해결 과정의 의사소통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학교수학, 20.1(2018): 131-14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