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영옥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9권 제4호, 663~6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감각 중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독일, 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지도 학년과 학년별 내용, 위치, 방향, 좌표, 경로, 거리의 공간 방향 요소와 요소별 내용과 현실 맥락을 중심으로 국가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비교 분석 결과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교육과정에 공간 방향 내용과 기간 확장 및 고학년의 공간 방향 지도 강화, 공간 방향 내용 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경험 제공, 학생들 주변의 친숙하고 현실적인 맥락 활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meaning and sub-factors of spatial orientation, compare and analyze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everal countries with respect to spatial orientation and offer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Korea.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sub-factors of spatial orient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regarding various studies on spatial sense. Based on such examina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used in South Korea, Singapore, Japan, China, Hong Kong, Finland,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Germany with respect to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grades, sub-factors of spatial orientation, and contexts for spatial orientation. In the light of suc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ing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s follows: extending content of spatial orientation in mathematics curriculum, emphasizing spatial orientation across the several grades, especially in the upper grades,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the sub-factors of location, direction, coordinates, route, and distance variously, and utilizing various familiar and realistic contexts in the world around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