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Function Graph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마민영 신재홍 이수진 박종희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8권 제3호, 457~4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함수의 그래프 개념에 대한 이해와 발달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차함수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중학생 2명을 대상으로 약 7개월에 걸쳐 교수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업을 진행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두 학생 모두 상황을 그래프로 표현하고 그래프를 상황에 적절하게 해석하는 초기 과제에서 두 변량 사이의 함수 관계보다 산술적인 값들에 주안점을 둔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발달, 학생간의 차이점이 드러나는 과제에 주목하여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시한 과제의 의도 및 역할, 과제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기술하였다. 특히 학생의 반응은 Castillow-Garsow(2012)가 제안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 그 방식을 이끌어내는 추론, 과제의 해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함수의 그래프 표현 및 해석에서 양들의 변화와 연속성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function graphs. We collected the data from the teaching experiment with two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not yet received instruction on linear function in school.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15-day teaching experiment(Steffe, & Thompson, 2000). Each teaching episode lasted one or two hours. The students initially focused on numerical values rather than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functional situations. This study described meaning, role of and students’ responses for the given tasks, which reveal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function graphs. Especially we analyzed students’ responses based on their methods to solve the tasks, reasoning that derived from those methods, and their solu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ir continuous reason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understanding of function graph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