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Argumentation in Exploring the Pick’s Formula Using the Geoboard of Graphing Calculator in Math-Gifted 5 Grade Clas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환 강영란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8권 제1호, 85~1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5학년 영재반 수업에서 TI-73 그래핑 계산기의 지오보드를 사용하여 Pick의 공식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수업담화로부터 논증과 논증활동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수업 비디오, 음성녹음록, 활동지가 있으며 Toulmin의 논증 도식을 분석의 준거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그래핑 계산기의 지오보드는 주어진 조건의 다양한 격자다각형에 대한 넓이를 계산해줌으로써 실험과 관찰의 환경을 조성하고 ‘자료→주장’의 구성과 이의 정당화를 위한 보증, 지지, 한정어, 반박의 논증활동을 유발시키는 도구적 역할을 하였다. 경계점의 수와 내점의 수로 Pick의 공식을 유도할 때 ‘집단적 논증’의 방식이 나타났으며 교사는 논증활동을 지휘하는 역할, 지식을 판단하는 권위자의 역할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find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on derived from a discourse in a math-gifted 5 grade class, which was held for finding a Pick's formula using Geoboard function of TI-73 calculator. For the analysis, a video record of the class, transcript of its voice record, and activity paper were used as data and Toulmin’s argument schemes were applied as analysis standar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the graphing calculator helped the students to create an experimental environment that graphing a grid-polygon and figuring out its area. Furthermore, it also provided a basic demonstration through ‘data->claim’ composition and reasoning activities which consisted of guarantee, warrant, backing, qualifier and refutal for justifying. The basic argumentation during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ick’s theorem by the numbers of boundary points and inner points was developed into a ‘collective argumentation’ while a teacher took a role of a conductor of the argumentation and an authorizer on the knowledge at the sam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