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Emerging through the Process of Algebra Word Problem Solv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마민영 신재홍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8권 제1호, 43~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국문 초록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대수 문장제의 해결에서 드러나는 학생간의 차이를 공변적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영재 사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약 7개월간에 걸쳐 다양한 대수 문장제 해결을 위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변화율이 일정하게 변화하는 상황을 포함하는 대수 문장제의 해결에서 ‘동희’와 ‘정희’의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동희’와 ‘정희’의 비율 관계를 포함하는 대수 문장제의 해결과 문제에 제시된 상황을 일반화하는 모든 행위에 주목하여, 이러한 행위로부터 추론된 두 변량 사이의 변화 관계에 대한 인식을 Moore와 Carlson(2012)이 제시한 공변 추론 수준에 비추어 비교,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among two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emerging through the process of algebra word problem solving from the covariational perspective. We collected the data from fou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mentorship program for gifted students of mathematics and found out differences between Junghee and Donghee in solving problems involving varying rates of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their actions to solve and to generalize the problems situations involving constant and varying rates of ch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ir covariational reason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algebra word problem solv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