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at Each Achievement Level in Content Domain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동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8권 제1호, 15~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국문 초록
남녀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는 것은 그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첫 걸음이다. 이것은 한 번의 검사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소수의 피험자로는 일반성을 잃을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여러 해에 걸쳐서 피험자가 배운 내용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야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2014년에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다루었다. 그로부터 성취도 점수와 평균 정답률 등을 검사 전체, 문항 유형, 내용 영역 측면에서 정리하면서 성취수준별로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녀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은 방안을 찾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Clarifying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showed in male and female students is the first step for resolving the differences. It is difficult that we figure out them by one test. If we evaluate a few subjects, they can’t have generality. So, we must evaluate lots of subjects through several years by all-around contents. We keep going on like that, we can get objective and valid results. Accordingly, I dealt with 2010~2014 NAEA taken by complete enumeration evalu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evaluation, while I organized the achievement scores and the average of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rom aspects of whole test, item types, and content domains, I elicited from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showed in male and female students by achievement levels. On the basis of these, I explored ways which can resolve the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I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to look for the better ways.
목차
Ⅰ. 서론
Ⅱ. 수학 성취도에서 성차에 대한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