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secondary teaching course and wish to be a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355~3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중등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으며 교직에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대학생의 진로 준비 경험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법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중등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고, 교직에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내용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참여자가 면담 중에 보고한 내용을 귀납적으로 정리하여 범주화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진로 준비 어려움과 진로 준비에 대한 지원 요구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교직 희망 대학생의 진로 준비 어려움은 6개 영역 17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주요 영역은 개인의 심리적 부담 및 장벽 인식, 학업 관련 어려움, 진로 준비 이행 과정의 어려움, 진로의사결정의 확신 부족, 교직과 관련된 사회적 인식의 영향, 어려움에 대한 대처이다. 둘째, 교직 진출 희망 대학생이 인식하는 진로 준비에 대한 지원 요구는 5개 영역, 10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주요 영역은 진로설계 및 준비 이행 지원, 교원 양성 교육과정 정비, 교직 관련 제도 및 사회적 인식의 변화, 사회적 지지 및 경제적 지지, 학업 지원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직을 희망하는 대학생의 진로 준비 과정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진로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에 대한 진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secondary teaching courses and wish to be a teacher.
Methods To this e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secondary teaching course and wish to be a teacher. The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content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the interview were inductively organized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organized around the difficulty of career preparation and the content of support needed for preparation. First, the difficulties in career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wish to be a teacher were identified in 17 categories across 6 areas. The main areas are the perception of individual psychological burdens and barriers, academic difficultie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areer preparation, lack of confid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influence of social awareness rela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and coping with difficulties. Second, the needs for support for career preparation were identified in 10 categories across 5 areas. The main areas are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implementation support,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hanges in teaching profession-related systems and social awareness, social and economic support, and academic support.
Conclusions These results have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ish to be teachers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to prepare career support plans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careers as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