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extbook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Literacy and Ill-structured: Focusing o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Indi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도지민 김민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209~2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국가별 초등 수학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수학 교과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문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데이터 리터러시 관점에서 한국, 미국, 일본, 인도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를 선정하고 국가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구성 요소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지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을 분류한 후에는 국가별로 제시된 성취기준의 인지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TIMSS 2019 평가 개발의 지표가 되는 수학 인지 영역을 분석 준거로 성취기준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고, 국가별 수학 교과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을 실제성, 복잡성, 개방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과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의 다양한 측면이 다루어지지 않았고 고차원적 사고를 요구하는 인지 영역에 있어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교과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 분석 결과 실제 상황을 모방하고 상황에 대한 묘사와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제성이 나타났으나 복잡성과 개방성이 비교적 드러나지 않아 향후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교과서 문제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의 관점 및 구성 요소에 대해 다양한 측면과 고차원적 사고를 강조하고 ‘데이터 윤리’와 연계하여 지도될 필요가 있다. 수학 교과서 문제는 실세계와 연계된 문제해결력을 신장하고 수학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비구조성(ill-structured)의 실제성, 복잡성, 개방성의 특성이 체계적으로 드러나도록 제시되어야 한다. 예비교사 및 교사들을 위해서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및 비구조성(ill-structured)에 대한 배경 지식 함양 및 교수⋅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연수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후속연구로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each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literacy, compare and analyze the problem of ill-structured in math textbook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Methods To analyze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standards i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India from a data literacy perspective, components of data literacy was selected and analyzed with a focus on whether the standards in each country's curriculum reflect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After categorizing the standards, to analyze the cognitive level of the standards, the level of the standards is compared by the mathematics cognitive domain, which is an indica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TIMSS 2019 assessment, and the problems ill-structured of in each country are examined in terms of realism, complexity, and openness.
Result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 did not deal with various aspects of data literacy in the curriculum standards, and showed a low proportion in the cognitive domain that requires high-dimensional thinking. The problems of ill-structured in textbook were practical in that it mimics the real situation and provides descript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but complexity and openness were relatively not revealed, confirming the need to develop meaningful textbook problems for learners in the future.
Conclusions In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various aspects and high-dimensional thinking on the perspectives and components of data literacy and to be guided in connection with ‘data ethics’.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be able to utilize high-dimensional thinking skills through ill-structured status and aspects of practicality, complexity, and openness need to be systematically presented.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also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nd programs to foster data literacy capabilities,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on ill-structured status, and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be conducted as follow-up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