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omestic University Virtual Reality(VR) Utilization Education Research Tren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보람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9호, 47~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77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내용, 전공영역, 관련변인의 동향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별 동향은 간호학과 언어학에서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가상현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가상현실 활용 수업이, 매개변인으로는 몰입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활용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77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major area,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the most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a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2. Secon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ird, as for the trend by major area, utilization was high in nursing and linguistics.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programs and studies on their effects were the most common. Fifth,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low as mediating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research trend of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