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Project Based Learning Eff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지연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435~4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계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 적용 후 그 효과를 살펴본 개별 실험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총 1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직업계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 적용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392로 나타나 그 효과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조절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년별로는 3학년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낮을수록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가 크다는 선행연구와는 상이한 결과로 주로 3학년 때 실습수업을 가지는 직업계고등학교만이 가지는 특수성이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운영차시별로는 12-16차시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중심교과별로는 건축교과가 가장 큰 크기를 나타냈으며 융합 교과의 효과크기가 가장 작았다.
종속변인별로 살펴본 효과크기는 총 12개 변인 중 5개만이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는데 의사소통능력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효과크기가 가장 작았다.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의사소통능력을 극대화시키고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촉진자로서의 직업계고등학교 교사 역할이 매우 중대하며 그에 따른 교수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9 paper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dentify and objectively verify the results of individual experimental studies that looked at the effects of project learning after applying project learn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As a result,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project learning appli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was 1.392, indicating that the effect was very large. Subsequen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for each moderating variable, the effect size for the 3rd grade was the largest by grade. This is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at the lower the grade, the greater the effect of project learn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have practice classes mainly in the third year was applied. By operating class, the effect size of the 12th to 16th sessions was the largest, and by central subject, the architecture subject showed the largest size, and the convergence subject had the smallest effect size.
As for the effect size examined by dependent variable, only 5 out of a total of 12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The effect size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the largest and the effect size of self-efficacy was the smallest. In relation to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role as a learning facilitator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maximize communication skills and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and accordingly, teaching strategies are need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