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skillful student writers’ experiences on self-regulated writing strategies in academic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황순희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337~37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학술보고서 쓰기 경험과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쓰기 수행성취도가 높은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 경험을 온라인 포커스 집단 인터뷰(FGI, FocusGroup Interview)를 통해 분석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9가지 의미 범주가 도출되었다. 먼저 계획하기전략은 2가지(구체적 계획 부족 및 부재, 정교화 전략 활용), 점검하기 전략은 5가지(자기수정, 피드백 활용, 좋은 예시 활용, 무조건 쓰기와 거칠게 쓰기, 충분한 자료 읽기), 조절하기 전략은 1가지(자기수정), 자원관리전략은 노력, 시간·학습환경 관리, 도움 구하기 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자기조절 학습전략(Pintrich, 1999, 2000)의 역할 및 기능과 비교한 결과, 학습자는 자기조절 쓰기전략을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기초로 쓰기 수업에서 계획하기, 점검하기, 조절하기, 자원관리하기 관련 전략을 교수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인 전략 개발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writing academic reports and the use of self-regulating writing strategies by skillful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experience using the self-regulated writing strategy of skillful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through an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nine semantic categories were derived. Two strategies for planning (lack or absence of specific plans, use of elaboration strategies), five strategies for monitoring (use of self-correction, use of feedback, use of good examples, writing roughly, and reading enough material), a strategy for regulating (self-correction),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were found to be utiliz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teach strategies related to planning, monitoring, regulating, and resource management in writing courses, and specific strategies development guidelines need to be prepar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