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ading Activities for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Focusing on a Method of Conducting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양희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217~2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읽기활동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한국어 읽기 활동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어 읽기 교재의언어 기능 통합형 활동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교재에서 수행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읽기-쓰기, 읽기-말하기 통합형 활동의 단계, 수행 인원과 활용 매체에 따른 수행 방식을 제시하고 읽기 교재의 텍스트와 연계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교재에 제시되지 않은 활동의 단계와 수행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향후, 활동의 수행 방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용한 결과가 축적되면 변화된 학습 환경을 반영한 한국어 읽기 교재도 개발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reading activities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targeting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this end,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digital literacy and Korean read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most textbooks do not present specific methods for addressing integrated language activities in Korean.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 a method and stages of integrated reading-writing and reading-speaking activities to a number of participants proposing reading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is unique as it specifically outlines activities for cultivating learners’ digital literacy not previously presented in textbooks. In consequence, it is expected that if studies on ways of conducting classroom activities accumulate, the results of this application will be notable and Korean textbooks reflecting the changed learning environmen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디지털 리터러시와 한국어 읽기 교육
3. 한국어 읽기 교재의 언어 기능 통합형 활동 분석
4. 언어 기능 통합형 활동의 수행 방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