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nior-Junior Men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College Commitment of University Freshmen in Liberal Arts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주 정홍인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2호, 325~3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양수업에서 협력적 학습경험과 대학몰입의 관계에서 선후배 멘토링의 매개효과를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대학 역량강화 교과목을 수강하는멘티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력적 학습경험은 대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협력적 학습경험은 선후배 멘토링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학습경험은 선후배 멘토링을 매개로 대학몰입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만족을 위해 협력적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선후배 멘토링의 적극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e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oring by seniors and jun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and college commitment in liberal arts classes opened for university freshme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ntees who had been taking competency-building courses at K universit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commitment. Second,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ntoring. Third,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 effect on college commitment completely mediated by mentoring. Based 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ctive use of mentoring by seniors and junior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providing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mong university freshme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