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BL Using AI Technology-based Learning Tools in a College English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경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69~1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교양영어를 포함한 영어교육은 기존의 기능적이고 공학적인 언어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학습자중심학습모형으로 학습자 주도 탐구과정이 핵심인 PBL(프로젝트기반학습/문제중심학습) 관련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내용중심 언어교수법인 PBL중심 교양영어 학습활동에서 학습자의 탐구와 지식구성(영어와 주제관련 내용) 측면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네이버 파파고, 구글 번역기, 문법검수기)를 활용한 PBL중심 교양영어 교과목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6주 과정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를 활용한 PBL중심 교육과정은 교양선택 영어교과목에 도입하였다. 연구에는 해당 교과목(AI를 활용한 기초영어) 수강생 중 총 20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여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를 활용한 PBL중심 교양영어 학습경험에 관한 설문조사(19세트)와 조별보고서(4세트)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인지적, 정의적, 언어적, 만족도 영역, 지식구성, 성찰적 사고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의 기술적 한계와 학습자의 해당 학습도구에 대한 의존성은 부정적인 학습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인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 (1) 기술적 한계로 문법검수도구(Grammarly)가 제공한 불충분한 피드백을 이해하는 별도의 수업이 필요하다. (2) 인공지능기술기반 학습도구의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영어 말하기와 영어 쓰기 관련 별도의 교실 내 수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BL framework using AI technology-based learning tools, namely, Naver Papago, Google Translate, and Grammarly. The six-week framework was embedded into a General English course at a university, and a total of 2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llecting 19 students’ questionnaires and 4 sets of group journals in which 20 students participated in four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ents’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e General English cour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had positiv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in terms of cognitive factors, affective factors, satisfaction, linguistic factors, knowledge construction, and reflective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had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inadequate quality of AI technology-based tools and the rather over-reliance on the tools. The study concludes with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inclusion of a student-initiated grammar session involving feedback provided by Grammarly, and English language practices involving speaking and writing, both of which should serve to lower the over-reliance of the technology-based tools.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 방법
4. 인공지능기술 학습도구와 PBL중심 교양영어 설계
5. 인공지능기술 학습도구와 PBL중심 교양영어 학습경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