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beral Education on the Wag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Labor Marke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최강식 박철성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교양교육의 중요성 인식이 개인의 임금과 직무 만족도, 그리고 비인지적 능력에 미치는영향을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11차 및 18차 부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첫째,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개인은 그렇지 않은 개인보다졸업 후 노동시장에서 약 9%~13% 정도 시간당 임금을 더 받았다. 둘째, 교양교육이 직장생활에 도움이되었다고 인식하는 개인은 그렇지 않은 개인보다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가 높고, 자신이 하는 일에대한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셋째,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개인은 비인지적 능력의 척도중 하나인 통제소재 점수가 그렇지 않은 개인보다 약 0.15 표준편차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로 발생한 임금 격차의 10분의 1 정도를 설명한다.
이 같은 결과는 교양교육이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 모두를 함양하기 때문이며, 동시에 안정된환경보다 불확실한 환경하에서 교양교육의 효과가 더 크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on individual wages, job satisfaction, and non-cognitive ability using data from the 11th and 18th supplementary surveys of the 「Korea Labor and Employment Panel Survey」.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who recognized that liberal arts education in college was important received approximately 9% to 13% higher hourly wages in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than individuals who did not. Second, individuals who recognized that liberal arts education was helpful in their work life had higher overall job satisfaction than individuals who did not, and highly valued the work they were doing. Third, individuals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wed a locus of control score (one of the measures of non-cognitive ability) of about 0.15 standard deviation point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his accounts for about one-tenth of the wage gaps generated by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perception regarding liberal arts education This result is presumed to be because liberal arts education cultivates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and at the same time, liberal arts education is more effective in an uncertain environment than in a stable one.
목차
1. 서론
2. 실증분석
3. 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