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Volatility Transmission Mechanism of Global Alternative Investment Assets Considering the Time Varying Spillovers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윤병조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제20권 제2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S&P Global Infrastructure Index, S&P Merger Arbitrage Index, S&P U.S. SPAC Index를 대상으로 대체 자산들의 변동성 전달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Time-Varying Parameter VAR(Vector Autoregressive) 모형에 기초한 변동성 전이행태를 분석하였다.
표본기간 동안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지수들의 총 연계성은 중간 수준에 해당하는 27.22%로 추정된 가운데, S&P500과 Global Infrastructure Index 간의 변동성 전이효과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반면에 S&P500 지수와 연계성이 가장 작은 지수는 U.S. SPAC Index로 나타났다. 둘째, 순방향 연계성 추정 결과에 따르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수는 Merger Arbitrage Index,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수는 Global Infrastructure Index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U.S. SPAC Index는 상대적으로 중립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수들의 전체적인 연계성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시점에 급격하게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행태를 보이면서도 지수별로 다른 움직임이 관찰되었고, U.S. SPAC Index의 경우 다른 지수들 보다 탄력적이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volatility spillover was analyzed based on the Time Varying Parameter VAR(Vector Autoregressive) model to identify the volatility transmission mechanism of alternative assets for the S&P Global Infrastructure Index, S&P Merger Arbitrage Index, and S&P U.S. SPAC Index.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ver the sample period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connectedness of the indices to be analyzed was estimated to be 27.22%, and the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the S&P500 and the Global Infrastructure Index was found to be quite high, whereas the index with the least connectedness to the S&P500 index was found to be the U.S. SPAC Index. Second, according to the net bidirectional connectedness estimation results, the most affected index was reported as the Merger Arbitrage Index, and the most affected index was reported as the Global Infrastructure Index. In addition, the U.S. SPAC Index was relatively neutral,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greatly to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 Third, the total connectedness of the indices showed a behavior of rapidly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again at the time of the global spread of the coronavirus, but different movements were observed for each index, and the SPAC Index reacted more sensitively than other index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론
Ⅲ. 실증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