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Moral Education Directions for Emotional Competence as a Means of Anger Regul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석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661~6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분노조절 능력으로서 정서적 유능성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도덕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정서심리학, 정서적 유능성, 정서지능, 분노조절, 도덕교육 등과 관련된 문헌분석을 통해 분노와 관련된 개념들을 추출하고, 분노 정서의 기본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노조절의 필요성과 분노의 양상, 분노조절과 정서적 유능성의 관계를 밝힌 후 도덕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결과 분노조절을 위한 정서적 유능성의 도덕교육 방향으로 정서적 유능성의 내적 교육 방향과 외적 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분노조절을 위한 정서적 유능성의 내적 교육 방향은 정서 인식 능력 향상, 정서 이해 능력 향상, 정서 동기화 능력 향상이다. 정서적 유능성의 외적 교육 방향은 정서 표현 능력 향상, 정서 공감 능력 향상, 정서 사회적 기술 향상이다.
결론 도덕교육은 분노조절 능력으로서 정서적 유능성 향상을 통해 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하며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emotional competence as a regulatory mechanism for anger and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 and propose educational directions for moral education.
Methods Through an analysis of literature on emotional psychology, emoti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ger control, and moral education, concepts related to anger were extra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this emo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need for anger control, the various aspects of ang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control and emotional competence were elucidate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Results For moral education of emotional competence for anger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d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directions. The internal education direction for emotional competence for anger management includes enhancing emotional awareness, improving emotional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he external education direction for emotional competence includes improving emotional expression, enhancing empathy, and improving social skills related to emotions.
Conclusions Moral education can help students live healthy, happy, and valuable lives by improving emotional competence as a means of regulating anger.
목차
Ⅰ. 서론
Ⅱ. 분노 정서 이해
Ⅲ. 분노조절과 정서적 유능성
Ⅳ. 정서적 유능성 도덕과 교육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