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lent preference, informal learn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rporate Workers: Utiliz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605~6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업근로자의 인재우대, 무형식학습,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살펴보고 현 업무 수행기간별, 직급별, 세대별 다중집단 구조관계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 중 가장 최근 수행된 조사 데이터(2021년)를 활용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무형식학습 참여 경험이 있는 기업근로자를 연구대상자로 한정하여 총 1,29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변인 간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대상자를 현 업무 수행기간별, 직급별, 세대별에 따라 각각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별 차이 검증으로 비교하고, 다중집단분석으로 집단 내 및 집단 간 경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기업근로자의 인재우대, 무형식학습,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형은 적합하였고, 인재우대는 무형식학습과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현 업무의 수행기간별, 직급별, 세대별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셋째, 현 업무의 수행기간별, 직급별, 세대별 다중집단분석 결과 인재우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세대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업근로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근로자 특성에 맞는 지원방안을 제언하였고, 집단별 차이분석을 통한 세분화된 조직차원의 지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workers' talent preferences, informal learn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xamin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ultiple groups by current job performance period, position, and generation was analyzed and compared.
Methods The most recently conducted survey data among the Human Capital Enterprise Pane data for 2021 was used. Among all respondents, a total of 1,294 data were analyzed by limiting corporate workers who had participated in informal learning to study subject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urrent work period, position, and generation to verify differences by group, and the significance of routes within and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alent preferences, informal learn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rporate workers, the model was suitable, and talent preferences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informal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difference in average between groups by period of performance, position, and generation of the current job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ables, and thir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by period of performance, position, and generation of the current job,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s between groups by gener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support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workers was suggested so that corporate workers can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mplications for detailed organizational support measures through difference analysis by group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