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dult Counseling Rapport Sc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호 김지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487~50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내담자를 대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상담 라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상담 라포 척도 예비문항 도출을 위해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개방형 설문을 제작하여 이를 통해 총 95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첫 회기가 끝난 내담자를 대상으로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50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첫 회기가 끝난 내담자 25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발한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25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준거타당도 및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21문항으로 구성된 긍정적 첫인상 형성, 호의적 느낌, 편안함과 안락함 경험, 상담자의 진솔한 태도의 4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가 양호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4개 요인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내적합치도, 준거 타당도, 수렴타당도는 모두 양호하였다. 마지막으로, 재검사 신뢰도 또한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절차에 따라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 함으로써 상담 라포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 있는 척도를 제공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향후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가 상담자에 대해 형성하는 라포 수준을 진단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상담 라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통해 라포의 건강한 형성 및 증진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상담자의 역량 증진 및 상담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ounseling rapport scale for clients.
Methods This study developed a total of 95 items in an open-ended surve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o gain preliminary items for a counseling rapport scale. The items were tested for content validity by experts and face validity by clients who finished the first sessions, which reduced the items to 50 preliminary on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50 clients that finished the first session followe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250 clients to test the developed scale for validation. The scale was also tested for criterion and convergent validity.
Result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identified four factors that comprised of 21 items, including positive first impressions, favorable feelings, experiences of ease and comfort, and the counselor's honest attitude. Secondly, according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e fitness index of the scale was good; in addition, it confirmed that the four factor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were valid. Thirdly, the scale was good internal consistency, criterion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Finally, it also had good re-test reliability.
Conclusions Using an objective procedure this study provided a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counseling rapport. The scale developed i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laid a foundation to diagnose and improve the level of rapport between the counselor and his or her clients at the counseling scene. In short, the study offers discussions about ways to form and promote healthy rappor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ounseling rapport scale, hopefully contributing to the better competence and higher quality of counsel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