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n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Regard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revealed in Teacher Questionnaire in PISA 2018: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aiwa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신영 조홍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427~4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사 전문성 계발에 대한 인식과 계발 활동 참여 현황을 미국, 영국, 대만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방법 PISA 2018 교사 설문에 참여한 우리나라, 미국, 영국, 대만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 자격 프로그램,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필요에 대한 인식, 교사효능감,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교사 교육활동 저해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원 자격 프로그램에서 모든 국가에서 응답 평균은 ‘교수-학습, 학급 경영, 생활 지도’ 순으로 높았고 전통적인 PCK 구성 요소가 그렇지 않은 주제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응답 평균은 우리나라, 대만이 미국, 영국보다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필요에서는 높게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모든 국가에서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에 참여의 응답 평균은 동료교사와 협력하는 활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 교육활동 저해 요인의 응답 평균은 우리나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 필요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고려할 때 교원 자격 프로그램 전문성 계발 주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고, 교사들이 교사 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교육청이나 학교 차원에서 전문적 교사 협력체를 활성화시키고 디지털 교육 환경에 알맞은 교육 제반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Korean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aiwan.
Methods We used the following variables: 1) teacher qualifications programs; 2)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3) teacher efficacy; and 4) the factors hindering teacher education activities. The responses to the PISA 2018 teacher questionnaire from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aiwan were analyzed in line with these variables.
Results Regarding the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s, the response average in all countries was high in the order of ‘teaching-learning, class management, and life guidance’, and he response average of the subjects related to traditional PCK component were higher than the other subjects. The average response of the ne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higher and teacher efficacy were lower in Korea and Taiwan tha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Regarding the participation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response average of sub-variables related to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was the highest in all countries. Regarding the factors hindering teacher education activities, Korea showed the highest response average among the analysis target countries.
Conclusions Considering the perceptions of the ne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ubject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 In order to support teachers' participation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activ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 and to make an overall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with the help of the office of education or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