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lementary Textbooks and Learners’ Vocabulary Awareness According to CEFR Leve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지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313~3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초등권장어휘 상위수준을 초등 학습자에게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와 언어공통척도(CEFR) 교재에서 추출한 어휘를 EVP로 단계별 기술하여, 학습자 어휘인지도를 조사하고 해당 어휘가 교과서에 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군산 J초등학교 3-6학년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실시하고, 어휘인지도 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영어어휘프로파일(EVP)로 기술한 총 27개 어휘 용법이 교과서 1종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동일 학교 3-6학년 116명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사용하여 어휘인지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27개 중 12개 어휘는 교과서에서 일부 용법이 사용되었다. 교과서에 기술된 어휘 용법에 대한 학습자의 어휘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는 어휘의 일부 용법만을 사용하고 있으나, 학습자는 그 외 용법도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CEFR 초급 학습자 단계가 아닌 상위 단계 어휘 용법에 대한 인지도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 교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인지도 문항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VP는 사용자가 어휘 용법을 검색하고 이를 활용해서 조사 문항을 개발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CEFR 학습자 언어능숙도로 결과를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EVP는 학습자의 어휘인지도를 평가, 분석하는 데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어휘의 다양한 용법을 초등 어휘 지도 시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는 교과서 구현, 교육과정 권장어휘 요소를 제외하고 초급 학습자 상위 수준의 어휘 용법도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교육과정 권장어휘를 가이드라인으로 삼되, 학습자 어휘인지도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어휘 용법을 지도한다면 효율적인 어휘지도가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pecify what to consider when teaching the upper level of the elementary recommended vocabulary.
Methods Vocabularies extracted from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curriculum and CEFR textbooks were described levels of EVP to investigate learners’ vocabulary awareness and the aspect of vocabulary being implemented in textbooks was analyzed. Vocabulary awareness survey items were confirm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argeting 20 students at Gunsan J elementary school. 27 survey items described by CEFR levels in EVP were analyzed in terms of usage in one type of Korean textbooks. Vocabulary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with 116 students of Gunsan J elemenatry school using a google survey.
Results 12 vocabularies out of 27 have some usage in textbooks. The vocabulary awareness of the learners for the vocabulary usage described in the textbook was shown high. Although textbooks use only some usages of vocabulary,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know other usages as well. Awareness of upper level vocabulary usage, not the CEFR Basic User, was also shown high.
Conclusions Vocabulary awareness item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should be developed. EVP can be a basis for users to search for and utilize vocabulary usage to develop survey items. Since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e CEFR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it can be effective tool for evaluating, analyzing and utilizing the learner’s vocabulary awarenes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various uses of vocabulary in elementary vocabulary instructions. In many cases, learners knew the usage of upper level's vocabulary usage even if those weren't used in textbook and weren't classified to the elementary recommended in curriculum. Therefore, Efficient vocabulary instruction will be possible, if the recommended vocabulary in the curriculum is used as a guideline, and vocabulary usage is taught in the class based on learners’ vocabulary awar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